근전도[NCV]

신경 전도 검사(NCV)를 하는 기초적인 방법

햄궁 2023. 4. 19. 09:35
반응형

 

목차 

신경 전도 검사(NCV)를 하는 기초적인 방법
 1-1. 결론

 

 


 

신경 전도 검사(NCV)를 하는 기초적인 방법

 

신경전도검사(ncv) 시행에 앞서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 요소들이 있습니다.

먼저, 환자는 검사 내용에 대해 인식하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검사자는 검사를 준비하고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이해해야 합니다. 다음은 신경전도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별 접근 방법입니다.

  1. 환자에게 검사 절차를 설명합니다. 검사 내용을 가장 간단한 언어로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기 자극이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간단한 설명을 통해 환자들은 불안감이 줄어ㅂ들고 더 협조적이게 됩니다. (저는 모든 검사자가 스스로 신경전도검사를 받도록 권유합니다. 그래야 환자들이 직접적으로 얼마나 아프고 불편한지 알 수 있습니다.)
  2. 검사할 기기와 침대를 환자와 수행자 모두에게 편안한 자세로 위치시킵니다. 신경전도검사는 환자의 자세가 이완된 상태에서 수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움직임이나 소음 아티팩트 불필요한 간섭을 일으킵니다. 이는 특히 감각성 또는 혼합 신경전도검사에서 문제가 됩니다.
  3. 피부 온도를 측정합니다. 검사 시 환자가 춥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운동 및 감각 신경전도속도는 피부 온도가 1도 하강할 때마다 1.3-2.4m/sec씩 감소합니다. 검사하는 환자가 적절한 온도의 상태여야 합니다. 저희 검사실에서는 온도를 26°C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정상 신경전도속도(NCV) 값은 이 온도 범위 내에서 시행되어집니다. 만약 검사하는 환자가 춥다면, 히터, 전열판 또는 전기 담요 등을 사용하여 검사 전에 충분히 따뜻하게 해야 합니다.
  4. 전극 임피던스를 낮춥니다. 가능한 한 전극 임피던스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특히 ep검사 시). 일반적으로 전극 아래에 전극 겔을 바르고 접착 테이프로 전극을 고정합니다. 그러나 드물게 전극과 피부 사이의 임피던스를 더욱 낮춰야 할 때에는 바늘이나 퓨어젤로 조심스럽게 피부를 긁거나 알코올로 닦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운동신경전도검사(MNCV)를 먼저 실시하여 감각 및 혼합신경전도검사를 위한 신경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MNCV 검사를 먼저 실시하면, 감각 또는 혼합신경전도검사를 위한 기록전극 위치를 정확하게 마킹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록전극의 정확한 위치를 체크할 수 있습니다.
  6. 각각의 자극 전에 환자에게 경고를 해 주세요. 환자가 자극을 예상할 수 있도록 각 자극 전에 미리 경고를 해 줌으로써, 환자는 통증을 더 잘 견딜 수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자극은 환자가 움직이면서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7. 적절한 전극 위치 선정이 중요합니다. 각각의 검사에 따라 적절한 전극 위치를 찾아야 합니다. 이전의 검사 결과와 환자의 증상까지 고려하여 전극 위치를 부착합니다. 검사 결과의 정확성과 진단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전극 위치를 신중하게 붙여야 합니다.
  8. NCV 검사에서는 흔히 전기 자극을 통해 신경의 전도속도를 측정합니다. 이를 위해 검사자는 먼저 적절한 위치에 전극을 부착하고, 다음으로 자극 전극을 해당 신경 부위에 놓습니다. 이 때 자극 전극과 기록 전극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이는 전도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함입니다. 자극을 가하면 근육에서 움직임이 나타나는데, 이 때 올바른 근육이 움직이는지를 확인합니다. 만약 의도한 근육이 움직이지 않는다면 자극 전극의 위치를 바꿔봅니다. 또한 자극 강도를 높이는 것도 가능합니다.
  9. 자극을 가하면 CMAP라는 신경근전도 신호가 발생합니다. 이 신호에서 우리는 latency라는 지연시간을 측정합니다. 이것은 자극이 가해진 순간부터 신호의 초기 반응이 나타나기까지 걸린 시간을 의미합니다. latency는 일반적으로 밀리초 단위로 측정됩니다. 이 때, latency marker라는 것을 기계에서 표시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검사자는 latency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계에서 자동으로 latency marker가 설정될 때도 이를 확인하여 올바르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10. 최종적으로 우리는 terminal latency를 측정합니다. 이는 자극이 가능한 가장 먼 부위에서 발생한 latency를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해당 신경에서 가장 빠르게 전달되는 신호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이 속도는 다른 부위와 비교하여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근육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신호 전달 지연 때문입니다. 이를 고려하여 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려면 두 지점에서 자극을 가하고, 각각의 반응에 대한 latency를 정확하게 측정해야 합니다.

 

 

1-1. 결론

이번 글에서는 다양한 신경 전도 검사 기술을 사용하여 신경 활동을 검사하는 방법에 대해 다뤘습니다.

검사자는 검사를 시작하기 전에 환자에게 특정 근육 부위에 전극을 부착하고, 다양한 자극 부위에서 자극을 가해 신경 전달 활동을 기록합니다.

먼저, 자극 부위에서 진폭, 지속 시간 및 모양을 측정하고 비교합니다. 진폭은 최고점부터 최저점까지 측정하며, 지속 시간은 자극이 시작된 시점부터 끝난 시점까지입니다.

진폭은 신경 섬유의 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매우 중요한 임상적 의미를 갖습니다. 신경 질환에서 주로 나타나며, 특히 근위축, 중독, 약물 중독, 뇌병변 등에서 나타납니다. 또한, conduction block도 신경 전달 활동의 모양, 진폭 및 지속 시간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중요한 임상적 의미를 갖습니다.

또한, 자극 부위 사이의 신경 길이를 측정하여 신경 전도 속도를 계산합니다. 이를 위해 자극 부위의 중심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고, 이를 볼펜 등으로 표시합니다. 이러한 계산을 통해 다양한 신경 섬유에서의 신경 전도 속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근육에 전극을 부착하여 자극을 가했을 때 CMAP이 생성되지 않는 경우, 해당 근육이 충분한지 확인하고(근육이 빠진 부분이 있는지), conduction block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이를 통해 신경 질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경전달 블록(conduction block): 신경의 전기적 신호 전달이 보이지 않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는 신경 병변이나 손상, 염증, 압박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신경전달 블록(conduction block)은 신경근전도 검사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검사 결과 신경전달 블록이 발견되면 해당 부위의 신경이 장애를 겪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2023.04.16 - [근전도[NCV]] - 근전도검사(Jolly Test, NET, H-Reflex, F-wave, Blink Reflex)의 일반적인 개념

 

근전도검사(Jolly Test, NET, H-Reflex, F-wave, Blink Reflex)의 일반적인 개념

근전도검사(Jolly Test, NET, H-Reflex, F-wave, Blink Reflex)의 일반적인 개념 목차 1. Repetitive Nerve Stimulation Test (Jolly Test) 2. 신경 흥분성 검사 (Nerve Excitability Test, NET) 3. H-Reflex 4. F-wave 5. Blink Reflex 1. Repetitive N

hamkoog.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