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혈류초음파[TCD]

TCD의 정상파형과 협착파형

햄궁 2023. 3. 29. 08:31
반응형
목차 

1. 정상 TCD파형
1-1. 다혈류-저저항 형태
1-2. 소혈류-고저항 형태

2. 협착 TCD파형


1. 정상 TCD파형

 

TCD 검사에서 정상 도플러 파형의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 A: Systolic (수축기): Systolic은 도플러 파형의 첫 번째 산마루를 의미합니다. 이는 혈압이 가장 높은 수축기 단계에서 혈액이 동맥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파형입니다.
  • B: Systolic peak (수축기 정점): Systolic peak는 산마루에서 가장 높은 지점을 의미합니다. 이는 혈압이 가장 높은 순간에서 혈액이 동맥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파형의 가장 높은 지점입니다.
  • C: Systolic notch (수축기 감소): Systolic notch는 산마루의 첫 번째 골짜기를 의미합니다. 이는 혈압이 낮아지는 단계에서 혈액이 동맥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파형의 감소 부분입니다.
  • D: Diastolic notch (이완기 감소): Diastolic notch는 두 번째 골짜기를 의미합니다. 이는 심장이 이완되는 단계에서 혈액이 동맥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파형의 감소 부분입니다.
  • E: Diastolic decrease (이완기 감소율): Diastolic decrease는 이완기에서 혈압이 감소하는 속도를 나타냅니다. 이는 이완기 시작점에서 다음 산마루까지의 혈압 감소율을 의미합니다.
  • F: Diastolic end (이완기 끝): Diastolic end는 이완기에서 파형이 끝나는 지점을 의미합니다. 이는 혈압이 가장 낮아지는 순간에서 혈액이 동맥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파형의 끝점입니다.
  • ㉠: Spectral line (분광선): Spectral line은 검사 과정에서 혈액이 흐르는 동맥에서 받아들여진 신호의 세기를 나타냅니다. 이는 도플러 파형의 높이와 관련이 있습니다.
  • ㉡: Spectral window (분광창): Spectral window는 검사 과정에서 신호를 수집하는 빔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이는 검사 과정에서 더 많은 혈관을 탐지하고 더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 조절될 수 있습니다

 

출처-직접 검사한 결과 사용

 

 

1-1. 다혈류-저저항 형태

  • 다혈류-저저항 형태: 다혈류-저저항 형태는 일반적으로 뇌의 대형 동맥에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동맥에서 파형은 대체로 크고 규칙적입니다. 파형은 일반적으로 systolic peak와 systolic notch가 뚜렷하게 구분되며, 이완기 초기에는 다소 감소하는 형태를 띱니다.

1-2. 소혈류-고저항 형태

  • 소혈류-고저항 형태: 소혈류-고저항 형태는 일반적으로 뇌의 소혈관에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혈관에서 파형은 작고 불규칙적입니다. 파형은 일반적으로 systolic peak와 systolic notch가 뚜렷하게 구분되며, 이완기 초기에도 감소하는 형태를 띱니다.

 

 

※직접 검사한 파형입니다.

다혈류-저저항 파형

 

저혈류-고저항 파형


 

 

 

2. 협착 TCD파형

 

협착 부위에서의 TCD 파형은 협착의 정도와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대표적으로는 곁흐름(steal phenomenon), 교란혈류(Turbulence flow), 와류(Collateral flow)가 있습니다.

  1. 곁흐름(Steal phenomenon) : 협착 부위에서 뇌혈류량이 감소하면서 협착 부위 하부의 뇌혈류량이 증가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TCD 파형에서는 협착 부위 상류에서 저혈압성 파형이 나타나고, 하류에서는 고혈압성 파형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현상은 대개 일측성 협착에서 관찰되며, 저혈압성 파형의 경우 협착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서 관찰되며, 이를 proximal steal phenomenon이라고 합니다. 고혈압성 파형의 경우 협착부터 일정 거리 이상에서 나타납니다. 이를 distal steal phenomenon이라고 합니다.
  2. 교란혈류(Turbulence flow) : 협착 부위에서 혈류의 속도가 증가하면서 혈류가 교란되는 현상입니다. 이 경우 TCD 파형에서는 고속성과 저속성 파형이 교대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현상은 대개 중심성 협착에서 관찰되며, 협착 부위에서 나타납니다.
  3. 와류(Collateral flow) : 협착 부위를 우회하여 피를 공급하는 수많은 뇌혈관망 중 일부가 활성화되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 경우 TCD 파형에서는 저혈압성 파형과 고혈압성 파형이 교대로 나타나며, 파형이 규칙적이지 않은 경우도 많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현상은 대개 급성 협착에서 관찰되며, 협착 부위와 반대편에 나타납니다.

 

 

※ 아래 그림은 정상 TCD 파형의 혈관별 파형입니다.

출처-SAH & TCD (studylib.net)

 

 

출처-SAH & TCD (studylib.net)


 

 

※ MCA의 협착이 있을 때 파형입니다.

출처-Researchgate


 

 

※ 아래의  그림은 MCA의 TCD 파형을 보여주며, MCA의 정상파형과 경도, 중등도, 심각한 협착, 그리고 폐쇄된 상태를 보여줍니다.

A. Normal MCA: MCA의 정상적인 파형을 보여줍니다. 이는 다혈류-저저항 형태로, systolic peak가 80-120 cm/s 사이에 있으며, diastolic notch는 있지만 diastolic decrease는 거의 없습니다.

B. Mild MCA stenosis: MCA의 경도 협착을 보여줍니다. 이는 다혈류-저저항 형태로, systolic peak가 140-209 cm/s 사이에 있습니다. 또한, systolic notch가 명확하게 보이고 diastolic decrease가 조금 있을 수 있습니다.

C. Moderate MCA stenosis: MCA의 중등도 협착을 보여줍니다. 이는 다혈류-저저항 형태로, systolic peak가 210-280 cm/s 사이에 있습니다. 또한, systolic notch와 diastolic decrease가 뚜렷이 나타납니다.

D. Severe MCA stenosis: MCA의 심각한 협착을 보여줍니다. 이는 소혈류-고저항 형태로, systolic peak가 280 cm/s 이상입니다. 또한, spectral line이 두꺼워지며, systolic notch와 diastolic decrease가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E. Occlusive of MCA: MCA의 폐쇄 상태를 보여줍니다. 이는 MCA가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다른 기저 동맥은 모두 검출됩니다. 또는 대칭 지수(Asymmetry Index)가 -21%보다 작은 경우에도 진단될 수 있습니다.

 

 

출처-Reasearchgate

 

 

 

 


 

 

 

2023.03.28 - [뇌혈류초음파[TCD]] - TCD검사의 장점과 제약점

 

TCD검사의 장점과 제약점

목차 1. TCD 검사의 장점 2. TCD 검사의 제약점 1. TCD 검사의 장점 안전성: TCD 검사는 비침습적인 검사 방법으로, 큰 부작용이나 위험성이 거의 없습니다. 비교적 안전한 검사 방법이기 때문에, 환자

hamkoog.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