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SAH(거미막밑출혈)
1-1. TFC 시술
1-2. TFC 시술 후 TCD 결과
2. SAH 발생 후 혈관연축의 TCD 모니터링
1. SAH(거미막밑출혈)
SAH(거미막밑출혈)은 뇌졸중의 일종으로, 뇌의 거미막 아래 공간에 출혈이 생기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혈관이 파열되거나 분리되어 발생하며, 출혈된 혈액이 뇌 조직 주위에 압력을 가해 뇌 손상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SAH의 발생률은 약 6/100,000이며, 여성 대 남성의 비율은 1.24:1이며, 40-60세 사이의 연령층에서 빈도가 높게 나타납니다. 또한, SAH의 치사율은 50% 정도이며, 이 중 15%는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사망합니다. 생존한 환자 중 약 30%는 잔여적인 신체기능 장애를 가지고 있습니다.
거미막밑출혈의 원인은 대개 동맥류, 동맥협착증, 동맥류 등의 혈관 이상이나 고혈압, 당뇨병 등의 질병이나 산모기 혹은 대동맥류 등의 선천적인 문제로 인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원인이나 위험인자를 가진 사람들은 거미막밑출혈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동맥류는 뇌 동맥벽의 벽력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혈관 이상으로, 전체 뇌출혈 중 85%를 차지합니다.
그 외에는, 동맥 파열 이외의 출혈 원인으로는 동맥 박리(arterial dissection), 뇌 혹은 경막동맥기형(cerebral or dural AVMs), 질환에 의한 동맥류(mycotic aneurysm), 출혈성 뇌졸중(apoplexy), 척수 꼭대기의 혈관병변, 코카인 남용 등이 있습니다.
또한, 원인 중 하나는 뇌 동맥 월의 선천적인 약점으로, 특히 Willis원형(circle of Willis)의 삼지점(bifurcation)에서 발생하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갑작스러운 고혈압 역시 파열을 유발하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SAH의 증상은 갑작스러운 두통, 구토, 의식변화 등이 있습니다. 또한 경련, 안면부 또는 팔다리의 감각 이상, 시각 장애, 언어 장애 등의 증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급성 및 심한 두통으로, "천둥같은" 두통으로 묘사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발병 후 몇 초 안에 발생합니다.
- 약 50% 환자에서 1시간 미만의 의식 저하가 있습니다.
- 약 30% 환자에서 집중 신경학적 증상이 있습니다.
- 높은 Glasgow Coma Scale (GCS)을 가진 환자에서는 경추강직, 빛 고통, 구토 및 양 Kernig와 Brudzinski의 징후를 포함한 두개내막자극 증상이 흔하게 나타납니다.
- 발작 및 급성 뇌증 등의 비전형적인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SAH를 진단하는데는 뇌촬영 검사, 혈액검사, 뇌척수액 검사 등의 검사가 이루어집니다. 이상이 발견되면 일반적으로 TFC 시술과 같은 치료가 필요합니다.
TFC 시술은 출혈된 혈액을 제거하기 위해 혈관 내 시술로 출혈 부위를 찾아내고, 이를 막기 위한 코일 등을 삽입하여 출혈을 막는 치료입니다. 이를 통해 출혈을 제거하고 뇌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수술적 치료나 약물 치료 등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은 환자의 상태, 출혈 부위, 출혈 원인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1-1. TFC 시술
TFC 시술은 거미막밑출혈과 같은 뇌혈관질환을 치료하는 혈관내시술 중 하나로, 출혈이 발생한 혈관을 막는 치료입니다. TFC는 "Transcatheter Coil Embolization"의 약어로, 혈관 내부에 코일을 삽입하여 출혈을 막는 방식입니다.
TFC 시술은 일반적으로 혈관내시술실에서 실시됩니다. 일반적으로 국소마취나 경면마취를 통해 시술이 이루어지며, 대개는 대동맥 혹은 경동맥을 통해 혈관 내부로 카테터를 삽입합니다. 카테터를 삽입한 후, X선을 이용해 출혈 부위를 찾아낸 뒤 코일이나 다른 소재를 사용하여 출혈을 막습니다. 코일은 혈관 내부에서 물리적으로 출혈 부위를 막는 역할을 합니다.
TFC 시술은 수술적인 치료보다 안전하며, 치료 후 입원 기간도 짧습니다.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치료 성공률을 보이며, 치료 후에도 거의 적게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인해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습니다.
그러나 TFC 시술도 일부 환자에서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출혈 부위가 접근하기 어렵거나, 출혈 부위가 큰 경우, 코일 등의 소재가 출혈 부위를 완전히 막지 못하는 경우 등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TFC 시술 후에도 출혈이 재발할 수 있으므로, 치료 후에도 주기적인 검사와 추적 관찰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TFC 시술을 포함한 어떤 치료 방법을 선택하든 환자의 상태와 증상, 출혈 부위와 크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이에 따라 치료 방법을 결정해야 합니다.
1-2. TFC 시술 후 TCD 결과
TFC(Triple-H therapy, consisting of hypervolemia, hypertension, and hemodilution) 시술로 MCA(Middle Cerebral Artery)나 ACA(Anterior Cerebral Artery) 혈관을 시술한 경우, TCD(Transcranial Doppler) 결과에는 다음과 같은 변화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MCA 혈관 시술 후 TCD 결과
- MCA mean flow velocity (MFV) 상승
- Pulsatility index (PI) 감소
- Lindegaard index (LI) 상승
ACA 혈관 시술 후 TCD 결과
- ACA MFV 상승
- PI 감소
- LI 상승
이러한 변화는 시술 후 일부분의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혔을 때, 혈류를 유지하기 위해 혈액의 압력이나 양을 늘리는 TFC 시술이 효과적일 경우 나타납니다. 하지만 모든 환자에서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개별적인 증례별로 TCD로 확인해야 합니다.
※ 아래의 그림은 CT 촬영상 SAH 소견입니다.
(A) CT 영상에서 오른쪽 SAH(거미막하 출혈)이 관찰되었습니다. CTILS(하한제한이물질에서 응고물의 두께)는 10.8mm 입니다.
(B) 수술 후 첫 번째 CT 영상에서 14시간 후에는 실비안 혈종이 된 SAH의 증가가 감지되었습니다. CTILS는 15.7mm입니다.
즉, 해당 환자의 두 번의 CT 영상 결과, 처음에는 오른쪽 거미막하 출혈이 확인되었으며, 그 후에는 이 출혈이 혈종으로 변화하여 증가하였습니다. CTILS는 출혈 두께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었습니다.
※ 아래의 그림은 뇌 CT와 혈관 조영 검사(Cerebral angiography) 결과로, 다음과 같은 소견이 있습니다.
A: 거미막하와 뇌실 내에서 출혈 소견이 나타납니다.
B: Willis 동맥환에 있는 전방상호연결 동맥(전맥) 부분에 작은 동맥류가 보입니다(흰색 화살표).
2. SAH 발생 후 혈관연축의 TCD 모니터링
일반적으로 SAH 후 혈관연축은 SAH 발생 후 3-14일 이내에 발생하며, 이 기간 동안 TCD 검사로 뇌혈류속도의 변화를 모니터링합니다. 일별 혈류속도 변화는 아래와 같이 나타납니다.
- 1일차: SAH 발생 직후에는 뇌혈류속도가 일시적으로 감소할 수 있습니다.
- 2일차: 뇌혈류속도가 다시 상승하여 정상 수준에 도달합니다.
- 3-14일차: 이 기간 동안 뇌혈류속도가 서서히 감소합니다.
- 14일 이후: 대부분의 환자에서 뇌혈류속도는 안정되며, 혈관연축이 없는 경우 정상 수준에 도달합니다.
2023.03.29 - [뇌혈류초음파[TCD]] - TCD의 정상파형과 협착파형
TCD의 정상파형과 협착파형
목차 1. 정상 TCD파형 1-1. 다혈류-저저항 형태 1-2. 소혈류-고저항 형태 2. 협착 TCD파형 1. 정상 TCD파형 TCD 검사에서 정상 도플러 파형의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A: Systolic (수축기): Systolic은 도플러
hamkoog.tistory.com
'뇌혈류초음파[TCD]'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뇌경색(acute stroke)에서의 TCD (0) | 2023.04.02 |
---|---|
뇌졸중(cerebrovascular disease, stroke) (0) | 2023.04.01 |
TCD의 정상파형과 협착파형 (0) | 2023.03.29 |
TCD검사의 장점과 제약점 (0) | 2023.03.28 |
TCD 검사에서 혈류속도의 영향을 주는 요인들(혈관직경, 뇌혈류량, 연령, 성별 등) (0) | 2023.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