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뇌졸중
1-1. 허혈성 뇌졸중(ischemic cerbrovascular disease)
1-2. 출혈성 뇌졸중(hemorrhagic cerbrovascular disease)
1-3. TCD 검사에서 MCA, ACA, PCA, ICA 의 경색
1. 뇌졸중
뇌졸중(stroke)은 뇌 혈액순환 장애로 인해 뇌조직 손상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뇌졸중은 크게 뇌경색과 뇌출혈로 나뉘어집니다.
- 뇌경색(Ischemic stroke) : 뇌 혈관이 막혀서 뇌조직에 산소와 영양소가 공급되지 않아 뇌조직 손상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뇌경색은 혈전, 혈관의 좁아짐, 혈관의 파열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TCD 검사는 뇌혈관의 혈액유속과 혈압 등을 측정하여 혈전의 존재를 확인하고, 혈관의 좁아짐 등을 파악하여 뇌경색의 원인을 찾아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뇌출혈(Hemorrhagic stroke) : 뇌 혈관이 파열되어 뇌조직 주변에 출혈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뇌출혈은 동맥류, 고혈압, 혈관의 기형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TCD 검사는 뇌혈관의 혈액유속과 혈압 등을 측정하여 뇌출혈의 원인을 찾아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와 출혈성 뇌졸중(hemorrhagic stroke)
1-1. 허혈성 뇌졸중(ischemic cerbrovascular disease)
- 허혈성 뇌졸중(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은 뇌 혈관이 막혀서 뇌조직에 산소와 영양소가 공급되지 않아 뇌조직 손상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허혈성 뇌졸중은 전체 뇌졸중의 80% 이상을 차지하며,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뇌졸중 유형 중 하나입니다.
- 허혈성 뇌졸중은 많은 경우 혈전 형성이나 혈관의 좁아짐, 혈관의 파열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뇌 혈류가 감소하거나 차단되면, 뇌 조직에 충분한 혈액과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뇌졸중이 발생합니다.
- 허혈성 뇌졸중은 다양한 증상을 보일 수 있으며, 발생하는 부위에 따라 증상이 달라집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언어장애, 무감각, 균형 장애, 시각 장애, 근육 약화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이 발생하면 반드시 응급치료가 필요합니다.
- 허혈성 뇌졸중의 치료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초기 치료로는 혈전 용해제나 항응고제를 투여하여 혈액을 가늘게 만들어 혈전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혈전을 용해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외에도 혈관확장제, 혈압강하제, 혈당조절제 등을 사용하여 증상을 완화하고 치료할 수 있습니다.
1-2. 출혈성 뇌졸중(hemorrhagic cerbrovascular disease)
- 출혈성 뇌졸중(Hemorrhagic cerbrovascular disease)은 뇌 혈관에서 출혈이 발생하여 뇌 조직에 손상을 준다는 질환입니다. 출혈성 뇌졸중은 전체 뇌졸중 중 약 20%를 차지하며, 특히 뇌출혈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 출혈성 뇌졸중은 혈관이 파열되어 뇌조직 주변에 혈액이 쌓이면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혈액이 뇌 내부로 침투하여 뇌 조직을 압박하고 손상시킵니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뇌졸중이 발생하면 급격한 증상이 나타나며, 생명 위협적일 수 있습니다.
- 출혈성 뇌졸중의 증상은 허혈성 뇌졸중과 유사하지만, 종류와 발생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두통, 언어장애, 실신, 구토, 경련 등이 있습니다.
- 출혈성 뇌졸중의 치료는 출혈된 부위를 조기에 수술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 외에도 혈압강하제, 혈전 용해제 등의 약물 치료를 사용하여 출혈을 예방하고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1-3. TCD 검사에서 MCA, ACA, PCA, ICA 의 경색
- MCA (middle cerebral artery) 경색: MCA 경색은 일반적으로 M1 또는 M2 세그먼트에서 발생합니다. MCA 경색의 TCD 소견은 대개 ipsilateral hemisphere에서 MFV (mean flow velocity) 증가와 PI (pulsatility index) 감소, 그리고 ipsilateral ACA의 MFV 감소를 나타냅니다.
- ACA (anterior cerebral artery) 경색: ACA 경색은 ipsilateral MCA의 MFV 감소와 함께 contralateral hemisphere에서 MFV 증가를 보입니다.
- PCA (posterior cerebral artery) 경색: PCA 경색은 ipsilateral posterior cerebral hemisphere에서 MFV 감소를 보입니다.
- ICA (internal carotid artery) 경색: ICA 경색은 ipsilateral MCA의 MFV 감소와 함께 contralateral hemisphere에서 MFV 증가를 보일 수 있습니다. ICA의 프록시멀 경색은 ipsilateral CCA의 EDV (end-diastolic velocity) 증가와 함께 보입니다.
- VA(vertebral artery) 경색: VA에서의 경색은 ipsilateral MCA 및 PCA의 혈류량 감소와 함께 반대편 BA의 혈류 증가를 보입니다. VA의 proximal 부분에서의 혈류 속도 상승이나 혈류 속도 감소는 distal 부분의 VA 협착을 시사합니다.
- BA(basilar artery) 경색: BA에서의 경색은 ipsilateral PCA와 contralateral PCA의 혈류량 감소를 보입니다. BA 경색의 위치에 따라 ipsilateral MCA 혈류량도 감소할 수 있습니다
즉, TCD 검사에서 다양한 동맥의 경색은 해당 영역의 MFV, PI, EDV 등의 흐름 속도 지표를 기준으로 판단됩니다.
※ 아래의 그림은 middle cerebral artery(MCA) 동맥의 협착 부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협착 부위의 혈류 이상이 파악되며, 해당 부위의 혈류 속도(peak systolic velocity, PSV, 평균 속도 Vmean, end diastolic velocity, EDV)가 상승하고, 협착 부위 이후의 혈류 속도가 감소하며, 상승하는데 지연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혈류 이상은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아래의 그림은 M1-MCA 협착 환자의 이미지입니다.
A는 왼쪽 M1-MCA 폐쇄가 나타나며, 54mm에서 신호가 둔해지고 반대쪽 MCA는 정상입니다.
B는 왼쪽 M1-MCA 협착이 나타나며, 48mm에서 상승 속도가 나타납니다.
C는 우측 말단 VA 협착으로, 70mm에서 MFV(최대 피크속도)가 113cm/s입니다.
D부터 F는 각각 CTA 이미지로, TCD 결과를 확인합니다.
2023.03.27 - [뇌혈류초음파[TCD]] - TCD 검사에서 혈류속도의 영향을 주는 요인들(혈관직경, 뇌혈류량, 연령, 성별 등)
TCD 검사에서 혈류속도의 영향을 주는 요인들(혈관직경, 뇌혈류량, 연령, 성별 등)
목차 1. 혈관의직경 2. 뇌혈류량 3. 연령 4. 성별 5. 혈액의 점도 6. 이산화탄소분압 7. 호흡 8. 혈압 9. 심장생리 10. 수면 11. 운동 12. 약물 13. 기타 병적 상황 1. 혈관의 직경 혈압 변화에 따라 혈액의
hamkoog.tistory.com
'뇌혈류초음파[TC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VM, 모야모야병, 편두통에서의 TCD (0) | 2023.04.06 |
---|---|
급성뇌경색(acute stroke)에서의 TCD (0) | 2023.04.02 |
SAH(거미막밑출혈)과 TCD검사 (0) | 2023.03.30 |
TCD의 정상파형과 협착파형 (0) | 2023.03.29 |
TCD검사의 장점과 제약점 (0) | 2023.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