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혈류초음파[TCD]

AVM, 모야모야병, 편두통에서의 TCD

햄궁 2023. 4. 6. 15:59
반응형

 

목차 

1. 동정맥기형 Arteriovenous malformation (AVM)
 1-2. AVM 환자의 TCD 검사에서 파형과 특징

2. 모야모야병 moyamoya disease
 2-1. 모야모야병 환자의 TCD 검사에서 파형과 특징

3. 편두통 migraine
 3-1. 편두통 환자의 TCD 검사에서 파형과 특징

 


 

1. 동정맥기형 Arteriovenous malformation (AVM)

 

Arteriovenous malformation (AVM)은 뇌나 척추 등 중추신경계에서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혈관 구조입니다. AVM은 일반적으로 뇌나 척추의 동맥과 정맥 사이에 비정상적인 혈관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발생합니다.

AVM은 선천적인 이상으로 생길 수 있으며, 일부 환자는 생후 몇 년 후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AVM은 심각한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뇌졸중, 뇌출혈, 뇌경색 등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AVM을 진단하려면 MRI, CT, 혈관조영술 등을 사용하여 혈관 구조를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AVM 치료 방법은 수술, 방사선 치료, 혈관성 접착제 치료 등이 있으며, 적절한 치료 방법은 AVM의 크기, 위치, 증상 및 개인의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AVM은 매우 드문 질병이지만,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나 의심되는 증상이 있으면 신속하게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1-2. AVM 환자의 TCD 검사에서 파형과 특징

 

AVM의 위치와 크기, 그리고 AVM으로 인해 발생하는 혈류 장애의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AVM이 크고 중추적인 위치에 있으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변화가 관찰될 수 있습니다.

  1. 대동맥 유입 부위에서 높은 속도의 혈류가 관찰됩니다.
  2. AVM 부위에서 높은 속도의 혈류와 낮은 저항의 혈류가 관찰됩니다.
  3. 정맥류 유출 부위에서 정상적인 혈류와 달리, 높은 저항의 혈류가 관찰됩니다.

 

 


 

 

※ 아래의 그림은  nomal 혈관과 AVM의 혈관입니다.

 

nomal :

  • 심장으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은 혈액을 뇌로 운반하는 동맥.
  • 건강한 혈관이 주변 조직에 산소를 천천히 공급합니다.
  • 혈액 내부의 산소와 영양소를 조직과 교환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 산소가 부족한 혈액을 뇌로부터 운반하여 몸 밖으로 배출하는 정맥.
  • 이러한 정맥들은 산소와 영양소를 배출하고 이산화탄소와 기타 폐기물을 수거하면서 산소 부족 상태의 혈액을 몸 밖으로 배출합니다.

AVM : 

  • 혈액이 일반적인 모세혈관 네트워크를 우회(직접 동맥과 정맥이 직접 연결되어 있는 상태)하고 동맥에서 정맥으로 빠르게 흐르는 현상.
  • 그러나 AVM에서는 비정상적으로 동맥과 정맥이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혈액이 빠르게 동맥에서 정맥으로 이동하면서 주변 조직들이 적절한 양의 산소와 영양소를 받지 못하게 됩니다.

 

 

 

 

 

출처-https://healthjade.net/arteriovenous-malformation/

 

 

 


2. 모야모야병 moyamoya disease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은 뇌혈관 질환 중 하나로, 일본에서 처음 발견되어 지명된 이름입니다. 병명인 "모야모야"는 일본어로 "흐린 연기"라는 뜻으로, 뇌혈관의 형태가 연기 모양과 유사하게 변화하는 모습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습니다.

모야모야병은 일반적으로 양쪽 뇌의 내측 동맥 (internal carotid artery)가 좁아지거나 막히면서, 대동맥과 뇌 혈관 사이에 혈액이 원활하게 흐르지 않게 됩니다. 이로 인해 뇌 혈액순환 장애가 발생하고, 뇌졸중, 발작, 지체된 인지 능력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모야모야병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 감염, 면역학적 원인 등이 가능성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또한 아시아인과 이주민들에게서 더 자주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모야모야병은 대개 조기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료 방법에는 혈관성형술, 혈관 이식 등의 수술적 절차, 그리고 항응고제나 혈압강하제 등의 약물 치료가 있습니다.

 

 

2-1. 모야모야병 환자의 TCD 검사에서 파형과 특징

  • 모야모야병 환자의 TCD 파형은 일반적인 파형과는 다른 특이한 모습을 보입니다. 일반적인 TCD 파형은 혈압이 상승하면 파장이 증가하고, 혈압이 하강하면 파장이 감소하는 맥동성 파형을 보입니다.
  • 하지만 모야모야병 환자의 경우, 뇌 동맥의 좁아진 부분에서 혈류가 빠르게 흐르기 때문에 혈압이 낮아져도 파장이 증가하지 않습니다. 대신에, 흐름 속도와 방향이 바뀌면서 난류 파형 (turbulent flow waveforms)이 관찰됩니다.
  • 또한 모야모야병에서는 대뇌원형동맥 (ACA)와 중뇌동맥 (MCA)에 대한 혈류 속도가 증가하고, 뇌동맥 분기점에서 혈류 속도가 감소하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입니다. 이러한 특징적인 TCD 파형은 모야모야병의 진단과 치료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 아래의 그림은 혈관 조영술을 실시 했을 때 모야모야 병에서 발생하는 특징적인 '연기 덩어리(puff of smoke)' 모양의 광범위한 막힘 미세 혈관을 확인하며, 이는 전방순환과 후방순환 모두에 영향을 미칩니다.

출처-https://healthjade.com/moyamoya-disease/

 

 

 

 

 


3. 편두통 migraine

 

편두통은 일종의 뇌질환으로, 국소적인 뇌혈류와 신경 전달 물질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양쪽 머리통: 대개 양쪽 머리를 포함한 전두부와 거북목 부근에서 심한 두통이 발생합니다.
  2. 심한 통증: 통증은 매우 심하며, 때로는 일상생활을 방해할 만큼 심각한 수준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일부 환자들은 불편한 감각, 냉한 땀, 불안 또는 우울증 등과 같은 다른 증상도 경험합니다.
  3. 편두통 발작: 편두통 발작은 대개 몇 시간에서 몇 일간 지속됩니다. 발작 중에는 대개 명확한 원인이나 증상이 없습니다.
  4. 전조증상: 일부 환자들은 발작이 시작되기 몇 시간 또는 며칠 전에 전조증상을 경험합니다. 예를 들면, 식욕 부진, 선천적으로 불안한 기분, 언어 능력 감퇴, 시각 장애, 소리 공격, 또는 다리와 팔의 저림과 같은 증상이 있습니다.
  5. 편두통 유발인자: 편두통을 유발하는 다양한 인자가 있습니다. 빛, 소음, 스트레스, 알코올, 카페인, 날씨 변화, 특정 식품, 수면 부족 및 휴대폰 사용 등이 그 예입니다.

편두통은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 계획이 필요합니다. 보통 약물 치료와 생활 습관의 변화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3-1. 편두통 환자의 TCD 검사에서 파형과 특징

  • 일반적으로 편두통 환자는 제한된 혈액 유속이나 혈액 흐름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환자가 편두통 발작을 겪을 때 혈액 유속이 감소하거나, 혈액 흐름이 느려질 수 있습니다.
  • 또한, 편두통 발작이 시작되기 전에는 대개 혈압이 상승하고, 발작이 진행되면 혈압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혈압 변화는 TCD 파형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이러한 파형 변화는 모든 편두통 환자에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발작이 없을 때는 정상적인 파형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CD는 편두통 진단에 있어서 보조적인 검사 도구로 사용될 수 있지만, 반드시 편두통을 진단하는 것은 아닙니다. 편두통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다른 적절한 검사와 함께 상세한 진단과 검사가 필요합니다.

 

 

 

 


 

 

 

※ 아래의 그림은 편두통 발생 기전 입니다.

편두통 발작은 중추 및 말초 감각화로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삼차 신경세포는 측두동맥과 같은 두개골 내 혈관으로부터 입력을 받는 제1차 신경세포에서 시작되며, 이 신호는 측두신경 뇌간핵계의 제2차 신경세포로 전달되어 제3차 신경세포인 측두핵으로 전달됩니다. 측두핵에서의 제3차 신경세포 감각화는 외부 민감도를 통해 임상적으로 표현됩니다.

두 번째로 허용되는 편두통 발생 메커니즘은 신경 유발성 염증입니다. 막내 조직의 신경 매개 염증 반응으로, 혈관확장과 마스트 세포 분화로 특징화됩니다. 삼차 신경세포에서의 민감화는 혈관확장, 염증 및 통증의 트리거로 간주되는 칼시토닌 생성 펩타이드(CGRP)와 P의 분비로 인해 유발됩니다. 통증 정보는 Aδ 및 C형 신경섬유를 통해 삼차 뇌실로 전달됩니다.

 

 

 

출처-https://www.researchgate.net/figure/Mechanism-of-migraine-development-migraine-attacks-represent-a-manifestation-of-central_fig1_335079331

 

 

 

 

 


 

 

 

 

 

2023.04.02 - [뇌혈류초음파[TCD]] - 급성뇌경색(acute stroke)에서의 TCD

 

급성뇌경색(acute stroke)에서의 TCD

목차 1. 급성 뇌경색(acute stroke) 1-1. TIBI(폐색에 따른 척도) 1-2. 뇌졸중 환자의 TCD검사의 기간별 변화 1-3.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혈전용해제(r-TPA) 정맥투여 1. 급성 뇌경색(acute stroke) 급성 뇌경색(acu

hamkoog.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