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동맥활 변이
2. 목동맥계(crotid system)
2-1. 온목동맥(common carotid artery, CCA)
2-2. 속목동맥(internal carotid artery, ICA)
2-2-1. 대뇌부
2-2-1-(1). 앞대뇌동맥(anterior cerebral artery, ACA)
2-2-1-(2). 중간대뇌동맥(middle cerebral artery, MCA)
2-2-1-(3). 속목동맥분지
2-2-2. 정맥동굴부분(cavernous portion)
2-2-3. 바위부분(petrous portion)
2-2-4. 목부분(cervical portion)
[1. 대동맥활 변이]
대동맥활 변이란, 뇌를 공급하는 대동맥 내부에서 일어나는 혈관 이상으로, 뇌졸중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대동맥활에는 다양한 변이가 존재합니다.
- 대동맥 분지부의 혈전 : 대동맥 분지부에 혈전이 생길 경우, 뇌졸중을 일으키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혈전이 대동맥 분지부를 막으면 그 부위를 통과하는 혈류가 갑작스럽게 감소하여 뇌조직에 충분한 혈류가 도달하지 않아 산소와 영양소 공급이 부족해져서 뇌졸중을 일으킵니다.
- 대동맥 분지부의 혈관 비후 : 대동맥 분지부의 혈관이 비후화되면 혈관 내부의 혈액이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고 혈류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뇌의 일부분에서 충분한 혈류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뇌졸중을 일으킵니다.
- 대동맥 선천성 이상 : 대동맥의 선천성 이상은 대동맥이 비정상적으로 형성되거나 발달이 불완전한 경우를 말합니다. 선천성 이상이 있는 대동맥에서는 혈류가 원활하게 흐르지 않아 뇌에 충분한 혈류가 도달하지 못하게 되어 뇌졸중을 일으킵니다.
- 대동맥류 : 대동맥이 비정상적으로 팽창되는 질환으로, 대동맥류가 생기면 혈관 내부에 혈전이 생기거나 혈관벽이 파열하여 출혈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대동맥류가 뇌졸중의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2. 목동맥계(crotid system)]
2-1. 온목동맥(common carotid artery, CCA)
온목동맥은 목동맥계의 한 종류로, 목의 중앙을 따라 올라가면서 머리와 얼굴을 공급하는 혈관입니다. 목동맥과 마찬가지로 왼쪽과 오른쪽 두 개의 온목동맥이 존재합니다.
온목동맥은 목의 중앙에서부터 머리와 얼굴을 공급하는데, 목과 뇌 사이의 혈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목동맥과 마찬가지로 경추부 척추관을 통해 뇌로 향하며, 이때 척추동맥과 합쳐져 뇌를 공급하는 뇌간동맥(Basilar artery)를 형성합니다.
온목동맥의 분포와 지점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온목동맥의 일부분에 혈전이 생기면 뇌경색을 일으킬 수 있으며, 혹은 온목동맥의 분기점 부근에 혈관이 압박되면 얼굴과 머리의 통증이나 경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온목동맥의 형태와 위치 등을 파악한 후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2-2. 속목동맥(internal carotid artery, ICA)
속목동맥은 목동맥계에서 중요한 분지 중 하나로, 대뇌피질의 많은 부분을 수포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뇌의 중추부와 뇌반향성 구조물을 가운데서 수포하며, 약 15%의 인구에서 발생하는 뇌졸중의 원인 중 하나입니다.
2-2-1. 대뇌부
속목동맥은 대뇌의 깊은 부위를 삼지하며, 대뇌반구에서 가장 큰 영역인 대뇌반구의 내측을 흐르고 있습니다.
속목동맥은 대뇌반구의 측면부와 연결되어 있는 중간대뇌동맥과 앞두발(전두엽)을 흐르는 앞대뇌동맥으로부터 각각 나뉘어져 있습니다.
속목동맥은 뇌의 깊은 부위에 위치하여 뇌의 신경세포들을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속목동맥은 대뇌반구 내에서 굉장히 중요한 혈관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2-2-1-(1). 앞대뇌동맥(anterior cerebral artery, ACA)
- A1 분절: 앞대뇌동맥의 가장 상위 부분으로서, 전두엽의 하단부와 대뇌두개판의 전반부를 관통하며, 두개판 중앙부에 위치합니다.
- A2 분절: A1 분절 이하에서 시작되어 전두엽과 대뇌두개판의 중앙을 관통하면서 대뇌반구의 중앙부와 상부를 삼지합니다.
- A3 분절: A2 분절 이하에서 시작되어 대뇌두개판의 후반부를 관통하며, 대뇌반구의 상중부와 후부를 삼지합니다.
- 앞교통동맥: 양쪽 앞대뇌동맥 사이에서 중간에 위치한 혈관으로, 두개판과 전두엽을 관통하면서 대뇌반구의 전반부를 삼지합니다.
2-2-1-(2). 중간대뇌동맥(middle cerebral artery, MCA)
- M1 분절: 중간대뇌동맥의 상위 부분으로서, 대뇌반구의 내측부를 관통하며, 대뇌반구의 중앙회반구를 삼지합니다.
- M2 분절: M1 분절 이하에서 시작되어 대뇌반구의 중앙회반구와 측두엽을 관통하면서 대뇌반구의 후반부를 삼지합니다.
- M3 분절: M2 분절 이하에서 시작되어 대뇌반구의 후반부를 관통하며, 대뇌반구의 후회반구와 둥종회반구를 삼지합니다.

2-2-1-(3). 속목동맥분지
- 앞맥락동맥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앞대뇌동맥의 왼쪽과 오른쪽 분지가 서로 연결되는 혈관으로, 대뇌반구의 내측부를 관통합니다.
- 뒤교통동맥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중심실과 뇌하수체를 관통하며, 중간대뇌동맥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뇌간 동맥과 연결되면서 대뇌반구 후부를 관통합니다.
- 위뇌하수체동맥 (Supraoptic artery): 속목동맥의 가장 상위 부분에 위치하며, 뇌하수체를 관통하는 혈관입니다.
- 눈동맥 (Ophthalmic artery): 속목동맥의 중앙 부위에서 분기되며, 눈 주위와 뇌의 전반적인 부분을 수행하는 혈관입니다.
2-2-2. 정맥동굴부분(cavernous portion)
"cavernous portion(동굴부분)"은 뇌의 내부에 위치한 혈관 중 하나로, 내경이 넓고 구부러진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정확한 위치는 두개골 내에 있는 상악골과 후두골 사이의 공간인 말초경동맥 동굴(cavernous sinus)입니다. 이 부위는 뇌에 근접하여 있으며, 대뇌에 대한 혈액공급을 제공하는 중요한 혈관 중 하나입니다. 또한 많은 신경이 이곳을 통과하며, 시각, 안면, 악성, 경유, 혓밀성 신경 등 다양한 신경의 연결점으로도 작용합니다.
2-2-3. 바위부분(petrous portion)
"petrous portion(바위부분)"은 두개골 내에 위치한 혈관 중 하나로, 이름 그대로 바위와 같은 단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정확한 위치는 내이동관(petrous portion of temporal bone) 내부에 있으며, 내이동관은 두개골 벽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이 부위는 뇌간동맥, 후두신경, 비전신경, 얼굴신경 등 다양한 혈관 및 신경의 통로가 되는 중요한 부위 중 하나입니다. Petrous portion은 내부적으로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내이동관에서 직각으로 뻗어나와 뇌간동맥과 비전신경의 연결점이 되는 부위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2-2-4. 목부분(cervical portion)
"cervical portion(경부부분)"은 동맥의 일부로서 목의 뒷쪽에 위치합니다. 이 부위는 뇌간 및 후두신경과 연결되어 있으며, 경추부의 척추관을 통과하면서 상부경부의 혈액을 공급합니다. 경부부분은 내경동맥(Internal Carotid Artery)의 3개 부위 중 하나로, 내경동맥은 두개골 내 혈관 중 하나로, 경부부분은 내경동맥이 두개골로 들어가기 전에 위치하는 부분입니다. 이 부위에서는 경추 신경, 후두신경 등 다양한 혈관 및 신경이 지나가며, 갑상선, 성대, 목뼈 등도 인접해 있습니다.

'뇌혈류초음파[TC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D 검사방법 중 경측두 측정법(MCA,ACA,PCA 측정방법과 주의점) (0) | 2023.03.22 |
---|---|
뇌혈관계 (척추뇌바닥{VA,BA}, 곁순환로, 뇌의 주요 동맥) (0) | 2023.03.22 |
뇌혈관의 다양한 변이(윌리스환 변이, 대동맥활 변이 등) (0) | 2023.03.21 |
뇌혈관의 위치와 역할 (0) | 2023.03.21 |
뇌혈관 해부학(뇌혈관의 중요성과 혈류공급) (0) | 202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