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관자경유 접근법(transtemporal approach, 경측두)
1-1. MCA(중간대뇌동맥, middle cerebral artery, 중대뇌동맥) 측정
1-1-1. MAC (Middle Cerebral Artery) 혈관 측정 시에는 다음과 같은 주의점
1-2. ACA(앞대뇌동맥, anterior cerebral artery, 전대뇌동맥) 측정
1-2-1. ACA (Anterior Cerebral Artery) 혈관 측정 시에는 다음과 같은 주의점
1-3. PCA(뒤대뇌동맥, posterior cerebral artery, 후대뇌동맥) 측정
1-3-1. PCA(Posterior Cerebral Artery) 혈관 측정 시에는 다음과 같은 주의점:
1. 관자경유 접근법(transtemporal approach, 경측두)
Transtemporal approach는 TCD 검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타겟 동맥이 귓변부 근처를 지나가기 때문에 이 지역에 초음파 프로브를 배치하여 측정합니다.
Transtemporal approach로 측정할 수 있는 동맥에는 Middle cerebral artery(MCA), Anterior cerebral artery(ACA), Posterior cerebral artery(PCA) 등이 있습니다. 이 중 MCA는 일반적으로 가장 자주 측정되는 동맥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Transtemporal approach는 모든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때로는 귓변부가 출혈 등의 이유로 손상되어 측정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경도나 중증의 정맥류 환자에서도 측정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Transtemporal approach의 경우, 환자의 머리를 기울이는 등의 조작을 통해 뇌 조직과 프로브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신호의 감도가 낮아져 측정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또한, Transtemporal approach에서는 두개골이 두껍거나 골반이 큰 사람에서는 초음파 파장이 도달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Insonation through Temporal window(ITW)이나 Transorbital approach 등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종종 Transtemporal approach에서는 귓변부 근처에 위치한 귓동맥이 신호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소음 억제 기술이나 신호 처리 기술 등을 사용하여 이러한 외부 잡음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1-1. MCA(중간대뇌동맥, middle cerebral artery, 중대뇌동맥) 측정
Transtemporal approach를 사용하여 MCA를 측정할 때, 프로브는 일반적으로 temporal bone의 내측면 또는 저두안부에 위치하게 됩니다. 아래는 Transtemporal approach를 사용하여 MCA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 환자의 머리를 양쪽으로 약 30도 정도 기울입니다.
- 초음파 프로브를 temporal bone의 내측면 또는 저두안부에 위치시킵니다.
- MCA를 탐지하기 위해, 초음파 프로브를 frontal bone과 parietal bone 사이의 temporal window에 위치시킵니다.
- 프로브를 약 50~60mm 정도 내밀어 MCA를 측정합니다.
MCA는 일반적으로 M1과 M2 segment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M1 segment는 MCA가 내부적으로 들어가기 전의 선형 부분이며, 일반적으로 30-40mm 깊이에서 측정됩니다. M2 segment는 M1 segment가 뇌 조직으로 들어가기 시작할 때부터 시작되며, 일반적으로 40-60mm 깊이에서 측정됩니다.
MCA는 대뇌 피질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주요 동맥 중 하나입니다. 이 동맥은 전두엽과 온몸감각피질을 수반하는 대부분의 상부 근육운동피질을 산술하게 수혜합니다. 또한 시각피질의 일부, 통각 피질의 일부, 그리고 청각 피질의 일부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MCA는 대뇌측부와 뇌실측부 두 가지의 영역으로 나누어집니다. 대뇌측부에서는 대뇌피질의 많은 부분을 수반합니다. 뇌실측부에서는 내측측두하부와 가운데 뇌동맥, 삼차뇌실, 하행동맥 등을 수반합니다. MCA는 다양한 뇌졸증, 뇌출혈 및 기타 뇌혈관 질환과 관련된 중요한 동맥 중 하나이며, TCD 검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측정되는 동맥 중 하나입니다
1-1-1. MAC (Middle Cerebral Artery) 혈관 측정 시에는 다음과 같은 주의점:
- 적절한 깊이에서 측정하기: MAC 혈관의 m1, m2 세그먼트는 두 개의 깊이에서 측정됩니다. 측정 깊이가 너무 얕으면 혈관의 곡률 때문에 측정이 어려울 수 있고, 깊이가 너무 깊으면 검사자의 손목이나 손가락의 움직임 때문에 혈관의 신호를 잡을 수 없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깊이에서 측정해야 합니다.
- 충분한 압력으로 측정하기: 검사 시에는 충분한 압력을 줘서 혈관에 충분한 접촉을 유지해야 합니다. 압력이 부족하면 혈관의 신호를 잡을 수 없을 수 있습니다.
- 검사자의 자세와 손의 위치: 검사자의 자세와 손의 위치가 검사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검사자는 편안한 자세에서 검사를 진행하며, 손가락을 너무 많이 움직이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환자의 혈압 및 호흡 상태: TCD 검사 시에는 환자의 혈압 및 호흡 상태가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검사 전에 환자의 혈압과 호흡을 측정하고, 안정된 상태에서 검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 측정 중 이상 신호의 감지 및 제거: 검사 중에는 혈관에서 이상 신호가 감지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검사자는 신호가 발생한 위치와 시간을 기록하고, 이상 신호를 제거한 후 다시 측정해야 합니다.
1-2. ACA(앞대뇌동맥, anterior cerebral artery, 전대뇌동맥) 측정
TCD 검사에서 Transtemporal approach로 ACA 측정 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합니다.
- Probe Placement: Transcranial Doppler probe를 temporal bone에 45-60도 각도로 배치합니다.
- Depth Adjustment: Depth를 조정하여 ACA를 식별합니다.
- Sample Volume Adjustment: 적절한 sample volume size를 선택합니다.
ACA는 대뇌 피질의 전반적인 공급 역할을 하는 대뇌 동맥의 하나로, 특히 전두엽을 향해 흐르는 혈류를 감지합니다. ACA는 ACA-A1과 ACA-A2로 구성됩니다. ACA-A1은 ICA와 합류하기 전에 동쪽과 서쪽 hemisphere를 연결하며, ACA-A2는 전두엽과 뇌의 하부로 향하는 대뇌 피질을 공급합니다.
ACA-A1은 깊이가 50-60mm이며, ACA-A2는 깊이가 60-70mm입니다. ACA는 MCA와는 다르게 깊이가 얕은 혈관으로, sample volume size는 5-10mm 정도로 선택합니다. 또한, A1과 A2를 구분하기 위해 대개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ACoA)를 찾아내고, A1은 ACoA에서 출발하는 분지 부위에서 측정합니다.
1-2-1. ACA (Anterior Cerebral Artery) 혈관 측정 시에는 다음과 같은 주의점:
- ACA의 분지인 ACoA를 정확하게 식별하고 측정합니다.
- A1과 A2를 정확히 구분하고, 두 개의 혈관을 각각 측정합니다.
- ACA는 MCA보다 깊이가 얕은 혈관이기 때문에 sample volume size를 작게 설정하여 측정합니다.
- A1과 A2의 혈류속도는 매우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값이 기록되어야 합니다.
1-3. PCA(뒤대뇌동맥, posterior cerebral artery, 후대뇌동맥) 측정
TCD 검사의 Transtemporal approach에서 Pca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Probe 위치: TCD probe를 temporal bone의 posterior part에 위치시키고, probe를 lateral로 움직여 Pca를 찾습니다.
- Depth: Pca는 50-60mm depth에서 발견됩니다. Pca는 뇌 하부에 위치하므로, probe를 내리면서 depth를 조절해야합니다. Depth를 P1과 P2로 나누지는 않지만, P1은 보통 50-55mm depth에서, P2는 55-60mm depth에서 측정됩니다.
- 특징: Pca는 뇌의 후면을 관통하는 중요한 혈관 중 하나입니다. 대뇌하조(Pons)에서 분기되어 뇌 뒤쪽을 관통하고, 뇌의 후면 대뇌동맥과 연결되어 중요한 보충혈관 역할을 합니다. Pca는 뇌의 시각, 공간적인 인지, 기억 등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3-1. PCA (Posterior Cerebral Artery) 혈관 측정 시에는 다음과 같은 주의점:
- Pca는 뇌의 후면을 관통하기 때문에, 다른 혈관에 비해 더 깊이에 있으므로, 측정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Pca는 양측에 있으므로, 양측을 모두 측정해야 합니다.
- 다른 혈관과 마찬가지로, Pca의 혈류속도는 혈압, 심박출량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Pca 측정 시에는 혈압이 안정된 상태에서 측정해야합니다
2023.03.22 - [뇌혈류초음파[TCD]] - 뇌혈관계 (척추뇌바닥{VA,BA}, 곁순환로, 뇌의 주요 동맥)-뇌혈류초음파(TCD) 공부
2023.03.22 - [뇌혈류초음파[TCD]] - 대동맥활(aortic arch) 변이와 목동맥계(carotid system){CCA, ICA}-뇌혈류초음파(TCD) 공부
2023.03.21 - [뇌혈류초음파[TCD]] - 뇌혈관의 다양한 변이(윌리스환 변이, 대동맥활 변이 등)-뇌혈류초음파(TCD) 공부
2023.03.21 - [뇌혈류초음파[TCD]] - 뇌혈관의 위치와 역할-뇌혈류초음파(TCD) 공부
뇌혈관의 위치와 역할
목차 1. 뇌혈관의 위치와 역할 1-1. 뇌 아랫면의 동맥 1-2. 속목동맥과 척추동맥 [1. 뇌혈관 위치와 역할] 뇌혈관은 다양한 동맥과 혈관들의 분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들 동맥과 혈관들은 목, 가
hamkoog.tistory.com
'뇌혈류초음파[TC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D 검사방법 중 후두하창 측정법(VA, BA 측정방법과 주의점) (0) | 2023.03.23 |
---|---|
TCD 검사방법 중 안와{눈} 측정법(OA, siphon 측정방법과 주의점) (0) | 2023.03.22 |
뇌혈관계 (척추뇌바닥{VA,BA}, 곁순환로, 뇌의 주요 동맥) (0) | 2023.03.22 |
대동맥활(aortic arch) 변이와 목동맥계(carotid system){CCA, ICA} (0) | 2023.03.22 |
뇌혈관의 다양한 변이(윌리스환 변이, 대동맥활 변이 등) (0) | 202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