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뒤통수밑 접근법(suboccipital approach, 후두하창)
1-1. VA(척추동맥, vertebral, 추골동맥) 측정
1-1-1. 혈류의 특징
1-1-2. 파형의 특징
1-1-3. VA 검사 시 주의점
1-2. BA(뇌바닥동맥, basilar artery, 기저동맥)측정
1-2-1. 혈류 방향
1-2-2. M-mode 초음파에서의 보이는 모습
1-2-3. 파형의 특징
1-2-4. 혈류량과 속도
1-2-5. BA 검사 시 주의점
[1. 뒤통수밑 접근법(suboccipital approach, 후두하창)]
Suboccipital approach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엎드려 있거나, 의자에 앉아서 턱을 가슴 쪽으로 당기며 고개를 숙이는 자세를 요청합니다. 그리고 환자의 머리를 앞으로 내밀어서 뒷머리 부위를 노출시킵니다. 이후, 프로브를 뒷머리 부위에 위치시키고, 각도를 약 30도 정도로 조정하여 뇌간동맥과 그 지지 동맥을 찾아 촬영합니다.
1-1. VA(척추동맥, vertebral, 추골동맥) 측정
TCD 검사 시 척추동맥인 VA의 혈류 방향은 일반적으로 양측 모두 뇌로 향하는 방향입니다. 즉, 두개강부터 출발하여 후두부 경계를 통과한 후 뇌쪽으로 향합니다.
M-mode 초음파에서 VA는 일반적으로 깊이 50-65mm 정도에 위치해 있으며, 프로브를 후두부 뒷면의 경골뼈와 위축성인골 사이에 위치시키면 됩니다.
1-1-1. 혈류의 특징
- 정상 혈류량: 최대 속도는 60-90cm/s 정도이며, 평균적으로 40-50cm/s 정도입니다.
- 역류: 일반적으로 VA에서 역류는 볼 수 없으며, 역류가 있는 경우 경동맥 또는 뇌동맥에 직접적인 압박이나 혈관의 이상이 의심됩니다.
- 혈류 속도 변화: 호흡이나 몸의 움직임에 따라 혈류 속도가 변할 수 있습니다.
1-1-2. 파형의 특징
- Systolic peak: 초기 혈류속도 피크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프로브를 후두부 뒷면의 경골뼈와 위축성인골 사이에 위치시키면 VA의 systolic peak는 첫 번째 파형이 됩니다.
- End-diastolic velocity: 맥박이 느린 경우, end-diastolic velocity가 높아질 수 있으며, 이는 VA 혈류의 적절한 보상 반응을 나타냅니다.
- Resistive index: (Peak systolic velocity - End-diastolic velocity) / Peak systolic velocity 의 비율로 계산되는 것으로, VA의 조영증강도가 높은 경우 resistive index가 낮아지며, 혈액순환 저하를 나타냅니다.
1-1-3. VA 검사 시 주의점
- 프로브 위치: VA의 위치는 목의 후방에 있기 때문에, 프로브를 올바르게 위치시켜야 합니다. 프로브의 위치가 잘못되면 VA의 혈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습니다.
- 호흡과 움직임: VA의 혈류량은 호흡이나 몸의 움직임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검사 시에는 환자가 정지하도록 안내해야 합니다.
- 기타 이상 상황: VA 검사 시에는 혈관의 이상이나 압박 등 다른 이상 상황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만약 VA 검사 결과 이상이 나타나면,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역류 검사: VA에서 역류가 나타나는 경우는 드뭅니다. 만약 역류가 나타난다면, 이는 VA와 관련된 혈관 질환, 혈관의 압박, 혹은 기타 문제가 있는 것일 수 있습니다
1-2. BA(뇌바닥동맥, basilar artery, 기저동맥)측정
TCD 검사에서 BA(Basilar artery) 검사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BA는 뇌간동맥과 중대뇌동맥에 이어 뇌 혈류를 혈액순환의 3대 통로 중 하나로 이끄는 혈관으로, 뇌의 중추적인 부분을 책임집니다. 따라서 BA의 혈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중대한 의의를 가지게 됩니다.
1-2-1. 혈류 방향
- BA는 뇌간 동맥에서 오른쪽과 왼쪽으로 나뉘어 혈류가 이루어집니다.
- 따라서 TCD 검사에서는 보통 양쪽에서 측정합니다. 혈류 방향은 Doppler shift를 측정하여 파형으로 나타내며, 이를 통해 혈류 방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1-2-2. M-mode 초음파에서의 보이는 모습
- M-mode 초음파에서 BA는 깊이 5-8cm에 위치해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음파속도는 1200-1500m/s로 나타나며, 파장의 속도를 나타내는 파동이 초음파에서 확인됩니다.
- 또한 혈류의 파동은 평탄한 S자 형태를 띄고 있으며, 그 크기는 일반적으로 2-3mm 정도입니다. 이러한 모습을 보고 혈류 속도와 방향을 파악합니다.
1-2-3. 파형의 특징
- BA의 혈류 파형은 일반적으로 높은 파도와 깊은 파공이 특징입니다. 이는 BA가 뇌 승모체와 뇌간에 위치해 있기 때문입니다.
- 파형은 S자 모양으로 나타납니다. 혈류 파형의 모양, 속도, 크기 등을 확인하여 혈액순환 상태를 파악합니다.
1-2-4. 혈류량과 속도
- BA의 혈류량과 속도는 개인차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혈류 속도는 50-100cm/s 정도입니다. 이를 통해 혈류량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말초동맥성 질환에 의한 혈액순환의 감소나 대사성 질환 등에 따른 혈류 장애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2-5. BA 검사 시 주의점
- BA 검사에서는 혈관의 역류 여부도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역류가 나타난다면 이는 혈관 질환의 가능성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 검사 시간 동안 환자의 호흡이나 움직임이 없도록 안내해주어야 하며, 검사 중 갑자기 발생하는 불쾌감이나 어지러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검사를 중단하고 적절한 처치를 시행해야 합니다.
2023.03.22 - [뇌혈류초음파[TCD]] - TCD 검사방법 중 안와{눈} 측정법(OA, siphon 측정방법과 주의점)
2023.03.22 - [뇌혈류초음파[TCD]] - TCD 검사방법 중 경측두 측정법(MCA,ACA,PCA 측정방법과 주의점)
TCD 검사방법 중 경측두 측정법(MCA,ACA,PCA 측정방법과 주의점)
목차 1. 관자경유 접근법(transtemporal approach, 경측두) 1-1. MCA(중간대뇌동맥, middle cerebral artery, 중대뇌동맥) 측정 1-1-1. MAC (Middle Cerebral Artery) 혈관 측정 시에는 다음과 같은 주의점 1-2. ACA(앞대뇌동맥
hamkoog.tistory.com
'뇌혈류초음파[TC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D 검사방법 중 경목 측정법(CCA, ICA, ECA 측정방법과 주의점) (0) | 2023.03.24 |
---|---|
MCA의 M1, M2/ACA의 A1,A2/PCA의 P1,P2 (0) | 2023.03.23 |
TCD 검사방법 중 안와{눈} 측정법(OA, siphon 측정방법과 주의점) (0) | 2023.03.22 |
TCD 검사방법 중 경측두 측정법(MCA,ACA,PCA 측정방법과 주의점) (0) | 2023.03.22 |
뇌혈관계 (척추뇌바닥{VA,BA}, 곁순환로, 뇌의 주요 동맥) (0)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