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경유 접근법(transcervical approach, submandibular, 경목 접근법, 하악하창)]
1-1. 온목동맥(common carotid artery, CCA, 총경동맥, 공동경동맥)
1-2. 속목동맥(internal carotid artery, ICA, 내경동맥)
1-3. 바깥목동맥(external carotid artery, ECA, 외경동맥)
1-4. CCA, ICA, ECA 혈관을 구분하는 특징
[1. 목경유 접근법(transcervical approach, submandibular, 경목 접근법, 하악하창)]
TCD 검사에서 Transcervical Approach(경경동맥 경로)는 경경동맥과 경동맥을 통해 뇌로 향하는 혈류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인 Transcranial Approach(두개막하 경로)보다는 혈관을 더 쉽게 찾을 수 있고, 더 깊은 부위까지 측정할 수 있으며, 뇌졸중 환자나 두개막하 혈관에 열린 문(Shunt)을 가진 환자에게 유용합니다.
Transcervical Approach에서는 일반적으로 경동맥이나 경경동맥을 이용해 혈류를 측정합니다. 검사를 시작하기 전에, 환자는 앉거나 누워있는 상태에서 경동맥이나 경경동맥을 검사하는 측면에 위치합니다. 이후, 검사자는 초음파 투영기를 사용해 혈관을 탐색하며, 적합한 depth와 angle을 찾아가며 혈류를 측정합니다.
Transcervical Approach에서는 일반적으로 최대 120mm까지 측정이 가능합니다.
또한, 이 방법은 Transcranial Approach보다 적은 압력으로 검사할 수 있으므로, 뇌 부종이나 뇌압 상승 등으로 인한 뇌 혈류량 감소를 초래할 위험이 적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혈관이 목과 얼굴의 뼈로 둘러싸여있어, 혈관을 찾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목과 얼굴에 부착된 초음파 센서가 이동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검사자는 충분한 경험과 숙련도가 요구됩니다.
1-1. 온목동맥(common carotid artery, CCA, 총경동맥, 공동경동맥)
TCD 검사 시 하악하창에서 CCA(공동경동맥) 혈관을 찾는 방법은 Transorbital Approach(안와 경로)이나 Transmandibular Approach(하악하창 경로) 중 후자를 주로 사용합니다.
CCA는 뇌로 향하는 혈류의 주요 경로 중 하나이며, 뇌졸중, 협심증 등 혈관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CCA를 찾을 때에는 먼저 하악하창 부위에서 초음파 투영기를 사용하여 혈관을 탐색합니다. 이때 CCA는 일반적으로 경동맥과 섭취동맥이 합쳐진 부위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CCA를 찾은 후에는 그 부위에서 파형을 측정하여 혈류 속도를 확인합니다.
- CCA의 파형은 일반적으로 triphasic wave로 나타나며, systolic upstroke에서 peak velocity는 80-100cm/s 정도이며, diastolic phase에서 reverse flow가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관찰 가능한 depth는 일반적으로 50-70mm 정도이며, 검사자의 경험과 환자의 두개골 구조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주의할 점은 CCA를 찾는 과정에서 하악하창 부위에서 압력이 가해지므로, 환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CCA는 다른 혈관과 근접해 있으므로, 올바른 혈관을 찾기 위해서는 충분한 경험이 필요합니다. 또한, 하악하창에서의 검사는 뇌에서 멀리 떨어진 혈관을 검사하는 것이기 때문에, 뇌에서의 혈류 변화를 감지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CCA 검사 결과를 해석할 때에는 이러한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1-2. 속목동맥(internal carotid artery, ICA, 내경동맥)
TCD 검사 시 하악하창에서 ICA(경동맥 내피층동맥) 혈관을 찾는 방법은 Transmandibular Approach(하악하창 경로)을 주로 사용합니다. ICA는 뇌로 향하는 혈류의 주요 경로 중 하나이며, 뇌졸중, 협심증 등 혈관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ICA를 찾을 때에는 먼저 하악하창 부위에서 초음파 투영기를 사용하여 CCA(공동경동맥)를 찾습니다. 그 후, CCA와 ICA가 분기하는 부위를 찾아 파형을 측정하여 혈류 속도를 확인합니다. 이때 ICA는 CCA와 비교하여 더 작은 혈관이므로 조금 더 정교한 조작이 필요합니다.
- ICA의 파형은 일반적으로 biphasic wave나 triphasic wave로 나타나며, systolic upstroke에서 peak velocity는 100-200cm/s 정도이며, diastolic phase에서 reverse flow가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관찰 가능한 depth는 일반적으로 50-70mm 정도이며, 검사자의 경험과 환자의 두개골 구조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주의할 점은 ICA를 찾는 과정에서 하악하창 부위에서 압력이 가해지므로, 환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습니다.
1-3. 바깥목동맥(external carotid artery, ECA, 외경동맥)
TCD 검사 시 하악하창에서 ECA(외경맥) 혈관을 찾는 방법은 Transmandibular Approach(하악하창 경로)을 주로 사용합니다. ECA는 얼굴과 목 부위의 혈액 공급을 담당하는 혈관 중 하나이며, 이 혈관이 감소하거나 폐쇄될 경우 얼굴, 목 부위의 혈압 저하,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ECA를 찾을 때에는 먼저 하악하창 부위에서 초음파 투영기를 사용하여 CCA(공동경동맥)를 찾습니다. 그 후, CCA와 ECA가 분기하는 부위를 찾아 파형을 측정하여 혈류 속도를 확인합니다. 이때 ECA는 CCA와 비교하여 더 작은 혈관이므로 조금 더 정교한 조작이 필요합니다.
- ECA의 파형은 일반적으로 triphasic wave 또는 biphasic wave로 나타나며, systolic upstroke에서 peak velocity는 100-150cm/s 정도이며, diastolic phase에서 reverse flow는 보이지 않습니다. 관찰 가능한 depth는 일반적으로 50-70mm 정도이며, 검사자의 경험과 환자의 두개골 구조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주의할 점은 ECA를 찾는 과정에서 하악하창 부위에서 압력이 가해지므로, 환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습니다.
1-4. CCA, ICA, ECA 혈관을 구분하는 특징
TCD(Tanscranial Doppler) 검사에서 CCA(공동경동맥), ICA(내경맥), ECA(외경맥) 혈관을 구분하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CCA(공동경동맥)
- 파형 특징: 일반적으로 triphasic wave로 나타납니다.
- 관찰 가능한 depth: 50-70mm 정도입니다.
- 특징: 일반적으로 파형이 안정적이며, 혈액 순환량이 많아 뚜렷한 파형이 관찰됩니다.
ICA(내경맥)
- 파형 특징: 일반적으로 low resistance waveform이며, systolic upstroke에서 peak velocity가 120cm/s 이상이고, diastolic phase에서 reverse flow가 보일 수 있습니다.
- 관찰 가능한 depth: 일반적으로 50-60mm 정도입니다.
- 특징: 파형이 불안정할 수 있으며, 혈압 등의 외부적인 요인에 따라 파형이 변할 수 있습니다.
ECA(외경맥)
- 파형 특징: 일반적으로 triphasic wave 또는 biphasic wave로 나타납니다. systolic upstroke에서 peak velocity는 100-150cm/s 정도이며, diastolic phase에서 reverse flow는 보이지 않습니다.
- 관찰 가능한 depth: 일반적으로 50-70mm 정도입니다.
- 특징: 혈압이 높지 않아서 파형이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특징 | ICA | ECA |
1. 크기 | 크다 | 작다 |
2. 분지 | 없다 | 있다 |
3. 방향 | 하악각 외측, 후방 방향 | 하악각 내측, 전방 방향 |
4. 도플러 파형 | 저저항(완만한 파형) | 고저항(뾰족한 파형) |
5. 관자두드리기 | 변화 없음 | 변화 있음(톱니 모양) |
※ ECA 관자 두드리기(temporal tap) 했을 때의 톱니모양 파형
2023.03.23 - [뇌혈류초음파[TCD]] - MCA의 M1, M2/ACA의 A1,A2/PCA의 P1,P2
MCA의 M1, M2/ACA의 A1,A2/PCA의 P1,P2
목차 1. MCA 1-1. M1 1-2. M2 1-3. TCD검사 상 M1과 M2 2. ACA 2-1. A1 2-2. A2 2-3. TCD검사 상 M1과 M2 3. PCA 3-1. P1 3-2. P2 [1.MCA] MCA는 뇌측과 안면측으로 구분됩니다. 뇌측 MCA는 대뇌의 대부분을, 안면측 MCA는 대뇌의
hamkoog.tistory.com
'뇌혈류초음파[TC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D검사의 정상 수치(성별, 나이, 좌우차에 따른) (0) | 2023.03.25 |
---|---|
TCD검사 지표(대뇌반구지수HI, 호흡억제지수BHI) (0) | 2023.03.25 |
MCA의 M1, M2/ACA의 A1,A2/PCA의 P1,P2 (0) | 2023.03.23 |
TCD 검사방법 중 후두하창 측정법(VA, BA 측정방법과 주의점) (0) | 2023.03.23 |
TCD 검사방법 중 안와{눈} 측정법(OA, siphon 측정방법과 주의점) (0)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