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MCA
1-1. M1
1-2. M2
1-3. TCD검사 상 M1과 M2
2. ACA
2-1. A1
2-2. A2
2-3. TCD검사 상 M1과 M2
3. PCA
3-1. P1
3-2. P2
[1.MCA]
MCA는 뇌측과 안면측으로 구분됩니다. 뇌측 MCA는 대뇌의 대부분을, 안면측 MCA는 대뇌의 일부를 공급합니다. MCA는 일반적으로 M1과 M2로 구분됩니다.
1-1. M1
M1은 MCA의 시작부분이며, 크기가 상대적으로 큽니다. M1은 ICA(Internal Carotid Artery)에서 분기되어 나가며, 뇌에 대량의 혈액을 공급합니다. M1은 대뇌 피질의 전반적인 부위와 기저핵, 대뇌하수체 등을 공급합니다.
- 검사자는 초음파 프로브를 두개골의(흉골)의 약간 위쪽이며 깊은 부위에 위치한 골형 유두(Foramen Magnum)를 찾습니다.
- 프로브를 이 위치에 위치시키고, 머리를 가볍게 굽히면서 프로브를 더 깊이 넣습니다. 이 때 프로브의 각도가 중요하며, 0-15도 각도로 넣는 것이 적절합니다.
- 이후, 프로브의 위치를 섬유유두(Falx Cerebri) 방향으로 이동시켜 M1을 찾습니다. M1은 일반적으로 50-60mm 깊이에 위치합니다.
- M1을 찾은 후, 프로브의 위치를 유지하며 혈류속도를 측정합니다.
1-2. M2
M2는 M1에서 뇌쪽으로 분기되어 나가는 부분으로, M1보다 작으며, MCA의 분기 부위를 이룹니다.
M2는 뇌의 작은 부위에 대한 혈액 공급을 담당합니다.
M2는 일반적으로 중추신경계의 운동 및 감각 기능을 담당하는 부위와 시각, 청각, 언어 등을 담당하는 부위를 공급합니다.
- 검사자는 초음파 프로브를 머리쪽 측면에 위치한 귀 다음의 골형 부위인 상완골하악골절구(Mandibular Fossa) 부근에 위치시킵니다.
- 프로브를 이 위치에 위치시키고, 깊이를 30-40mm 정도로 유지합니다. 이 때 프로브의 각도는 30-45도 각도로 넣는 것이 적절합니다.
- 이후, 프로브를 약간 이동시켜 M2를 찾습니다. M2는 일반적으로 30-40mm 깊이에 위치합니다.
- M2를 찾은 후, 프로브의 위치를 유지하며 혈류속도를 측정합니다.
1-3. TCD검사 상 M1과 M2
TCD(Tran cranial Doppler) 검사에서는 M1과 M2를 구분하여 혈류 속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M1과 M2는 혈류 속도의 큰 차이가 없으며, 두 부위 모두 혈류 속도 측정이 가능합니다. 다만, M2는 M1에 비해 분기 부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혈류 속도 측정이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
M1과 M2는 중추신경계에 대한 혈액 공급을 담당하는 중요한 혈관 중 하나이며, 중추신경계 기능 장애와 관련된 질환의 진단 및 예측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2. ACA]
ACA(Anterior Cerebral Artery)는 대뇌 피질의 전방을 관통하는 혈관으로, 대뇌의 전반적인 기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ACA는 A1과 A2 세그먼트로 나뉘어집니다.
2-1. A1
ACA의 첫 번째 세그먼트로, ICA(Internal Carotid Artery)가 ACA로 향하는 지점부터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ACoA)까지의 구간입니다.
- A1 세그먼트는 대개 짧고 두 개의 A1 세그먼트가 ACoA를 통해 서로 연결됩니다.
- A1은 전두하부에서 측정하며, TCD 검사기를 사용하여 골격근에 가까운 위치에 초음파 프로브를 위치시킵니다.
- 이때, TCD 검사기의 조절판을 사용하여 적절한 각도와 깊이를 맞춘 후 검사를 시작합니다.
- 깊이는 일반적으로 60-80mm 정도입니다.
2-2. A2
ACoA에서부터 ACA의 뇌 전방까지 이어지는 두 번째 세그먼트로, 대개 A1보다 길고 곡선을 그리며 뇌의 내측을 따라 분포합니다.
- A2는 상향경사에서 측정합니다.
- 이때는 TCD 검사기의 조절판을 사용하여 적절한 각도와 깊이를 맞춘 후, 프로브를 왼쪽 코골이와 우측 눈 사이, 약간 위쪽 부위에 위치시킵니다.
- 깊이는 일반적으로 40-60mm 정도입니다.
2-3. TCD검사 상 M1과 M2
이 둘의 차이점은 A1이 뇌하수체에서 분기된 지점에서부터 반대편 뇌반구에 이르기까지의 구간을 말하고, A2는 A1과 대칭되는 반대편 뇌반구 내에서 A1과 비슷한 길이만큼 이어지는 부분입니다.
TCD 검사에서는 A1과 A2 모두 외부경사도와 내부경사도 부위에서 검사를 합니다.
A1의 검사는 전두하부에서 이루어지며, A2의 검사는 상향경사에서 이루어집니다. ACA는 MCA와 달리 두 개의 분기로 나뉘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A1과 A2를 구분하여 검사해야 합니다.
A1은 깊이가 60-80mm이고, A2는 깊이가 40-60mm인 것이 일반적입니다.
TCD 검사에서 A1과 A2는 특징적인 파형을 보입니다. A1에서는 초기에 피크가 나타나는데, 이것은 거의 항상 양성파형(positive waveform)으로 나타납니다.
A2에서는 보통 음성파형(negative waveform)을 보이며, 이것은 광범위한 구간에서 관찰됩니다. 따라서, A1과 A2의 파형 특징을 확인하여 구분할 수 있습니다.
[3. PCA]
PCA(Posterior Cerebral Artery)는 뇌의 후방으로 가장 뒷부분을 관혈하는 혈관으로, P1과 P2 세그먼트로 나뉘어집니다.
3-1. P1
P1 세그먼트는 PCA의 일부로서 기저핵 부근에서 부터 뇌간 동맥(basilar artery)와 만나는 지점까지를 뜻하며, P2 세그먼트는 뇌간 동맥에서부터 뇌표면까지를 뜻합니다.
- TCD 검사 시, P1과 P2는 두개의 별도 측정 부위로 측정이 됩니다. P1의 측정 위치는 Temporal Window내에서 기저핵 부근이며, 검사 깊이는 대개 60-70mm 정도입니다.
- PCA의 특징으로는 피라미드 형태의 뇌각막에 의해 완전히 감싸여있다는 것이며, P1은 일반적으로 더 작은 지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PCA는 시신경의 교차지점에서 시작되기 때문에 시신경의 압박으로 인해 PCA 측정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Temporal Window 내에서 MCA 측정 위치에서 뒤쪽으로 1~2cm 이동하여 기저핵 부근을 찾습니다.
- Depth는 대개 60-70mm 정도이며, P1 파형은 일반적으로 높은 주파수에서 감지됩니다.
3-2. P2
P2의 측정 위치는 Foramen Magnum 또는 Condylar 선상이며, 검사 깊이는 대개 70-80mm 정도입니다.
- Foramen Magnum 또는 Condylar 선상에서 PCA의 입구를 찾습니다.
- Depth는 대개 70-80mm 정도이며, P2 파형은 일반적으로 낮은 주파수에서 감지됩니다.
2023.03.23 - [뇌혈류초음파[TCD]] - TCD 검사방법 중 후두하창 측정법(VA, BA 측정방법과 주의점)
2023.03.22 - [뇌혈류초음파[TCD]] - TCD 검사방법 중 안와{눈} 측정법(OA, siphon 측정방법과 주의점)
2023.03.22 - [뇌혈류초음파[TCD]] - TCD 검사방법 중 경측두 측정법(MCA,ACA,PCA 측정방법과 주의점)
TCD 검사방법 중 경측두 측정법(MCA,ACA,PCA 측정방법과 주의점)
목차 1. 관자경유 접근법(transtemporal approach, 경측두) 1-1. MCA(중간대뇌동맥, middle cerebral artery, 중대뇌동맥) 측정 1-1-1. MAC (Middle Cerebral Artery) 혈관 측정 시에는 다음과 같은 주의점 1-2. ACA(앞대뇌동맥
hamkoog.tistory.com
'뇌혈류초음파[TC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D검사 지표(대뇌반구지수HI, 호흡억제지수BHI) (0) | 2023.03.25 |
---|---|
TCD 검사방법 중 경목 측정법(CCA, ICA, ECA 측정방법과 주의점) (0) | 2023.03.24 |
TCD 검사방법 중 후두하창 측정법(VA, BA 측정방법과 주의점) (0) | 2023.03.23 |
TCD 검사방법 중 안와{눈} 측정법(OA, siphon 측정방법과 주의점) (0) | 2023.03.22 |
TCD 검사방법 중 경측두 측정법(MCA,ACA,PCA 측정방법과 주의점) (0)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