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안와경유 접근법(transorbital approach, 경안와)
1-1. OA(눈동맥, opthalmic artery, 안동맥) 측정
1-2. siphon(손목동맥사이폰, internal carotid siphon artery, 내경동맥사이폰) 측정
1-3. OA(눈동맥, opthalmic artery, 안동맥)과 siphon(손목동맥사이폰, internal carotid siphon artery) TCD 파형 특징
1-3-1. OA(Ophthalmic Artery)의 파형
1-3-2. ICSA(Internal Carotid Siphon Artery)의 파형
1. 안와경유 접근법(transorbital approach, 경안와)
1-1. OA(눈동맥, opthalmic artery, 안동맥) 측정
TCD 검사의 Transorbital approach 접근법에서 OA(Ophthalmic Artery)를 측정하는 방법과 그 특징, 검사 시 주의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측정 방법: OA는 안구 주위를 돌아가며 각막, 결막, 굴절마비 근 등을 통해 눈에 도달하는 동맥입니다. Transorbital approach 접근법에서 OA를 측정하기 위해, 초음파 프로브를 안구의 상위와 외측에 위치시키고, 안구의 중심 축을 따라 각도를 조절하여 OA를 탐지합니다.
- 특징: OA는 뇌와 눈 사이의 혈류를 유지하는 동맥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OA는 뇌에서 매우 짧고 직선적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TCD 검사에서 측정하기 쉬운 혈관 중 하나입니다. 또한 OA는 안구와 인접한 혈관들과의 분기점이 많아 검사 결과의 정확성이 높습니다.
- 검사 시 주의점: OA 측정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안구에 대한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초음파 젤을 사용해야 합니다.
- 검사 중에는 대상자의 안구를 압박하거나 자극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OA의 위치를 찾아 최적의 각도에서 측정해야 합니다.
- OA 측정 시, 검사 시간이나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호흡과 맥박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 검사 결과를 정확히 해석하고, 다른 검사와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진단에 활용해야 합니다.
TCD 검사에서 OA 검사 시 의안이나 녹내장 백내장이 있는 경우에도 OA 측정이 가능합니다.
이는 OA가 뇌혈관과 마찬가지로 동맥이기 때문에, TCD 검사로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TCD 검사를 통해 OA를 측정하는 것은 안구질환이 있어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안구 질환으로 인해 안압이 상승하거나, 혈압 조절 기능이 약화되어 OA의 혈압 측정이 어려울 수 있으며, 이 경우 검출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다른 방법으로 안질환의 진단을 위해 검사가 필요합니다.
1-2. siphon(손목동맥사이폰, internal carotid siphon artery, 내경동맥사이폰) 측정
TCD(Transcranial Doppler) 검사의 Transorbital approach 접근법은 안구를 통해 뇌혈관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통해 Internal Carotid Siphon Artery(ICSA)를 측정하는 방법과 그 특징, 검사시 주의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측정 방법: ICSA는 안구의 중심 축을 따라 내려가며, 안구와 뇌 간의 경계부근에서 뇌로 들어가는 동맥입니다. Transorbital approach 접근법에서 ICSA를 측정하기 위해, 초음파 프로브를 안구의 상위와 외측에 위치시키고, 안구의 중심 축을 따라 각도를 조절하여 ICSA를 탐지합니다.
- 특징: ICSA는 뇌의 혈류를 유지하는 중요한 동맥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ICSA는 뇌에서 매우 길고 복잡한 곡선을 그리며 내려가기 때문에, TCD 검사에서 측정하기 어려운 혈관 중 하나입니다. 또한 ICSA는 혈관이 굽어지고 말단 부분이 갈라지는 등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검사 결과의 정확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검사 시 주의점: ICSA 측정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안구에 대한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초음파 젤을 사용해야 합니다.
- 검사 중에는 대상자의 안구를 압박하거나 자극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ICSA의 위치를 찾아 최적의 각도에서 측정해야 합니다.
- ICSA 측정 시, 검사 시간이나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호흡과 맥박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 검사 결과를 정확히 해석하고, 다른 검사와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진단에 활용해야 합니다
1-3. OA(눈동맥, opthalmic artery, 안동맥)과 siphon(손목동맥사이폰, internal carotid siphon artery) TCD 파형 특징
TCD 검사에서 OA(Ophthalmic Artery)와 Internal Carotid Siphon Artery(ICSA)의 파형 모양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3-1. OA(Ophthalmic Artery)의 파형
- OA 파형은 대부분의 경우, 저저항성 형태의 단순한 흐름을 보입니다.
- OA 파형은 기본적으로 두 개의 피크로 구성되며, 첫 번째 피크가 systolic peak(수축기 최대값)이고, 두 번째 피크가 diastolic peak(이완기 최대값)입니다.
- 파형의 증가나 감소는 안구의 혈압 변화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고혈압이나 동맥경화 등 상태에서는 파형이 상승이나 증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1-3-2. ICSA(Internal Carotid Siphon Artery)의 파형
- ICSA 파형은 대부분의 경우, 중저항성 형태의 복잡한 흐름을 보입니다.
- ICSA 파형은 3개의 피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 번째 피크가 systolic peak(수축기 최대값), 두 번째 피크가 mid-systolic notch(수축기 중간점), 세 번째 피크가 diastolic peak(이완기 최대값)입니다.
- 파형의 형태나 크기는 ICSA의 혈압, 혈액 유동성, 그리고 경도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복잡한 형태를 보이는 것은 ICSA가 중요한 혈액 공급 동맥이기 때문입니다.
2023.03.22 - [뇌혈류초음파[TCD]] - TCD 검사방법 중 경측두 측정법(MCA,ACA,PCA 측정방법과 주의점)
TCD 검사방법 중 경측두 측정법(MCA,ACA,PCA 측정방법과 주의점)
목차 1. 관자경유 접근법(transtemporal approach, 경측두) 1-1. MCA(중간대뇌동맥, middle cerebral artery, 중대뇌동맥) 측정 1-1-1. MAC (Middle Cerebral Artery) 혈관 측정 시에는 다음과 같은 주의점 1-2. ACA(앞대뇌동맥
hamkoog.tistory.com
'뇌혈류초음파[TCD]' 카테고리의 다른 글
MCA의 M1, M2/ACA의 A1,A2/PCA의 P1,P2 (0) | 2023.03.23 |
---|---|
TCD 검사방법 중 후두하창 측정법(VA, BA 측정방법과 주의점) (0) | 2023.03.23 |
TCD 검사방법 중 경측두 측정법(MCA,ACA,PCA 측정방법과 주의점) (0) | 2023.03.22 |
뇌혈관계 (척추뇌바닥{VA,BA}, 곁순환로, 뇌의 주요 동맥) (0) | 2023.03.22 |
대동맥활(aortic arch) 변이와 목동맥계(carotid system){CCA, ICA} (0)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