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혈류초음파[TCD]

뇌혈관계 (척추뇌바닥{VA,BA}, 곁순환로, 뇌의 주요 동맥)

햄궁 2023. 3. 22. 10:47
반응형
목차 

1. 척추뇌바닥동맥계(vertebro-basilar system,  VA-BA system)
 1-1. 척추동맥(VA, vertebral artery)
 1-2. 뇌바닥동맥(BA, basilar artery)
   1-2-1. PCA(Posterior Cerebral Artery)

2. 대척맥순환경로, 곁순환로(collateral circulation)

3. 뇌의 부위별 담당 동맥(arteries to specific brain areas)
 3-1. Corpus striatum(줄무늬체)
 3-2. Internal capsule(속섬유막)
 3-3. Thalamus(시상)
 3-4. Midbrain(중간뇌)
 3-5. Pons(다리뇌)
 3-6. cerebellum(소뇌)

 

 

[1. 척추뇌바닥동맥계(vertebro-basilar system,  VA-BA system)]

 

1-1. 척추동맥(VA, vertebral artery)

척추동맥(vertebral artery)은 경추 부위를 통과하여 뇌간동맥에 연결되는 중요한 혈관입니다. 이 동맥은 extraosseous, foraminal, extraspinal, intradural로 구분됩니다.

  1. 제1분절(V1, Extraosseous segment): 이 부위는 척추동맥이 경추에서 출발하여 어깨 아래 경골 상단까지 이르는 구간을 말합니다. 이 구간에서 척추동맥은 경추 동맥과 겹쳐지며, 경추 동맥은 척추동맥의 첫 번째 분기점 역할을 합니다. Extraosseous segment는 척추 동맥과 경추 동맥이 외부에 위치하여 뼈가 아닌 부분에서 혈액을 공급합니다.
  2. 제2분절(V2, Foraminal segment): 이 부위는 척추동맥이 척추 골로 들어가는 구간으로, 척추 골에서 나온 신경들이 지나가는 구멍인 척추공간(foramen)을 통과합니다. 이 구간은 척추 동맥이 척추 골 안으로 들어가는 부분으로, 이 구간에서 동맥이 압박을 받을 수 있으므로, 압박이 심해지면 척추동맥종양이나 동맥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제3분절(V3, Extraspinal segment): 이 부위는 척추 골을 빠져나와 뇌간동맥으로 이어지는 구간을 말합니다. 이 구간에서 척추동맥은 척추 골 바깥쪽에 위치하며, 주변 근육 및 연조직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4. 제4분절(V4, Intradural segment): 이 부위는 척수막 안으로 들어가 뇌간동맥과 연결되는 구간을 말합니다. 이 구간은 뇌간동맥에 연결되는 가장 중요한 부위 중 하나로, 뇌간동맥이나 척수막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할 경우 뇌졸중 등의 심각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출처-핀터레스트

1-2. 뇌바닥동맥(BA, basilar artery)

뇌바닥동맥(Basilar artery, BA)는 뇌간에서 뇌방향으로 흐르며, 뇌스템을 통과하며 뇌의 다양한 부위를 혈액으로 공급하는 중요한 혈관입니다.

뇌바닥동맥은 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AICA), Superior Cerebellar Artery (SCA) 및 Posterior Cerebral Artery (PCA)로 나뉩니다.

  1. AICA(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이 혈관은 뇌바닥동맥의 최초 분기점 중 하나입니다. AICA는 뇌간의 후방 하부로 뻗어나가 청색소 등에 혈액을 공급합니다. 이 혈관은 후두엽 및 감각신경 등에 영향을 미치며, 청색소와 백색소에 대한 혈액공급을 담당합니다.
  2. SCA(Superior Cerebellar Artery): 이 혈관은 뇌바닥동맥의 중간 부분에서 분기되어 양쪽 뇌의 위층 뇌하수체와 위층 소뇌 및 뇌간 등을 공급합니다. 이 혈관은 후두엽하에 위치한 운동신경 등에도 영향을 미치며, 뇌하수체나 감각신경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 PCA(Posterior Cerebral Artery): 이 혈관은 뇌바닥동맥의 최종 분기점 중 하나이며, 뇌 습관 및 후두엽을 공급합니다. 이 혈관은 시각신경 등의 중요한 신경에도 영향을 미치며, 뇌하수체와 같은 부위에도 혈액을 공급합니다.

        1-2-1. PCA(Posterior Cerebral Artery)

  • P1 분절: 뇌바닥동맥에서 PCA가 분기되어 뇌각막하(Quadrigeminal cistern)와 측상후두엽 삼출 부위(Superior surface of the cerebellum)를 공급합니다.
  • P2 분절: 뇌간에서 PCA가 뇌하수체 아래쪽에서 P2 분절로 분기되며, 뇌하수체, 중뇌 등을 공급합니다.
  • P3 분절: 뇌간에서 PCA가 P2 분절에서 분기되어 후두엽과 뇌 습관을 공급하는 P3 분절로 나뉘어집니다. P3 분절은 뇌간 기저부에서 시작되어 후두엽과 뇌 습관을 덮는 후두엽대퇴판(Splenoium)을 통과하며 후두엽을 공급합니다.

이렇게 PCA의 P1, P2, P3 분절은 뇌 습관, 후두엽 및 뇌하수체와 같은 다양한 뇌 부위를 혈액으로 공급합니다. PCA의 각 분절은 뇌 부위와의 연결 부위 및 혈액 공급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분절이 손상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증상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뇌혈관질환 등으로부터 뇌를 보호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PCA 분절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렇게 뇌바닥동맥의 AICA, SCA 및 PCA는 뇌의 다양한 부위를 혈액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이 혈관들 중 하나라도 혈액 공급이 부족하면 뇌졸중 등 심각한 질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뇌바닥동맥의 혈액 공급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출처-Frontiers

 


2. 대척맥순환경로, 곁순환로(collateral circulation)

 

Collateral circulation(대척맥순환)은 특정한 혈관이 막히거나 손상될 경우, 주변의 혈관들이 대척맥순환 경로를 통해 이를 보완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뇌 혈관질환의 경우, 뇌 조직에 충분한 혈류가 공급되지 않아 뇌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대척맥순환 경로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앞교통동맥(collateral circulation via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양쪽 내경동맥(Internal carotid artery) 간에 있는 소형 혈관으로, 전두엽(frontal lobe)과 코골이 부위를 공급합니다. 대개 앞뇌동맥(Anterior cerebral artery)에서 혈압 감소 등의 이유로 혈류가 감소될 때 활성화됩니다.
  • 뒤교통동맥(collateral circulation via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뒤두엽(occipital lobe), 측두엽(temporal lobe), 뇌간(brainstem) 등을 공급하는 뇌혈관입니다. 뇌 각막하 수막척수액 공간(Quadrigeminal cistern)에서 대뇌동맥(PCA)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눈동맥(collateral circulation via Ophthalmic artery): 뇌바닥동맥(Posterior cerebral artery)이나 후두엽 대퇴판(Splenoium) 부위에서 혈류 감소 시, 안구와 눈동맥을 통해 혈류를 보완합니다.
  • Leptomeningeal collateral(연수막 곁순환로): 뇌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뇌 동맥간에 다양한 collateral circulation이 존재합니다. Leptomeningeal collateral은 혈관 사이에 작은 혈관들이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이들이 대척맥순환을 보완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middle cerebral artery와 anterior cerebral artery 간에는 ACOM(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posterior cerebral artery와 vertebral-basilar artery 간에는 PICA(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대척맥순환 경로는 뇌혈관질환 등으로 인한 뇌손상을 보완하고, 뇌 조직에 충분한 혈류를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뇌의 부위별 담당 동맥(arteries to specific brain areas)

 

다음은 각각의 뇌 부위에서 주로 역할을 하는 동맥들에 대한 설명입니다.

 

3-1. Corpus striatum(줄무늬체)

  • Corpus striatum은 대뇌기저부에 위치한 중요한 뇌 부위로, 운동, 감정, 인지 등 다양한 기능을 담당합니다.
  • 이 부위를 주로 수행하는 동맥은 뇌 내에서 가장 큰 동맥 중 하나인 middle cerebral artery(MCA)입니다.
  • MCA는 대뇌피질의 많은 부위와 연결되어 있으며, 뇌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2. Internal capsule(속섬유막)

  • Internal capsule은 뇌의 중추신경계에서 가장 중요한 신경섬유 길로로, 대뇌에서 내려오는 운동 신경과 흰집신경 등을 포함합니다.
  • 이 부위를 주로 수행하는 동맥은 anterior choroidal artery와 lenticulostriate artery입니다.
  • Anterior choroidal artery는 뇌의 깊은 부위인 내측초록색핵(internal globus pallidus)과 후완핵(posterior limb of the internal capsule)을 공급합니다.
  • Lenticulostriate artery는 뇌의 기저부에 위치한 basal ganglia(대뇌기저핵)와 internal capsule을 공급합니다.

3-3. Thalamus(시상)

  • Thalamus는 뇌에서 중요한 신경 전달 체계 중 하나로, 뇌신경계의 대부분의 정보를 처리하고 중개하는 역할을 합니다.
  • 이 부위를 주로 수행하는 동맥은 posterior cerebral artery(PCA)입니다.
  • PCA는 뇌의 뒷부분을 주로 공급하며, thalamus와 중추시선(trigeminal lemniscus), 시각 전달 체계 등을 공급합니다.

3-4. Midbrain(중간뇌)

  • Midbrain은 뇌간(mesencephalon)의 일부로, 시각, 청각, 운동 등 다양한 기능을 조절합니다.
  • 이 부위를 주로 수행하는 동맥은 PCA와 superior cerebellar artery(SCA)입니다.
  • PCA는 midbrain의 일부를 공급하며, SCA는 뇌의 뒷부분과 cerebellum을 공급합니다.

3-5. Pons(다리뇌)

  • Pons는 뇌간의 일부로, 호흡, 심장 및 소화 등 다양한 기능을 조절합니다.
  • 이 부위를 주로 수행하는 동맥은 vertebral artery와 basilar artery입니다.
  • Vertebral artery는 뇌간의 후부를 공급하며, basilar artery는 pons의 중심부분을 공급합니다.

3-6. cerebellum(소뇌)

  1. Superior cerebellar artery (SCA): SCA는 basilar artery의 가지 중 하나로, cerebellar hemisphere와 cerebellar vermis 상부를 공급합니다. 이 동맥이 손상되면, 상지 또는 하지의 운동 장애, 지각 장애, 언어 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AICA): AICA는 basilar artery의 가지 중 하나로, cerebellar hemisphere와 brainstem의 일부를 공급합니다. 이 동맥이 손상되면, 안진, 실신, 언어 장애, 청각 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PICA): PICA는 vertebral artery의 가지 중 하나로, cerebellum의 하부 및 medulla oblongata의 일부를 공급합니다. 이 동맥이 손상되면, 언어 장애, 소양각감각 손상, 후두 감각 장애, 안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023.03.22 - [뇌혈류초음파[TCD]] - 대동맥활(aortic arch) 변이와 목동맥계(carotid system){CCA, ICA}

2023.03.21 - [뇌혈류초음파[TCD]] - 뇌혈관의 다양한 변이(윌리스환 변이, 대동맥활 변이 등)

2023.03.21 - [뇌혈류초음파[TCD]] - 뇌혈관의 위치와 역할

 

뇌혈관의 위치와 역할

목차 1. 뇌혈관의 위치와 역할 1-1. 뇌 아랫면의 동맥 1-2. 속목동맥과 척추동맥 [1. 뇌혈관 위치와 역할] 뇌혈관은 다양한 동맥과 혈관들의 분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들 동맥과 혈관들은 목, 가

hamkoog.tistory.com

 

반응형